[프라임경제] “KT서비스, 중대재해처벌법 책임회피”…KT 앞 노조 기자회견
작성자: 최종관리자 | 조회: 189회 | 작성: 2022년 4월 29일 11:35 오후“KT서비스, 중대재해처벌법 책임회피”…KT 앞 노조 기자회견
고객 거실서 안전화 안 신었다고 경고…산재 직원에 책임 전가
이인애 기자 | 92inae@newsprime.co.kr | 2022.04.29 16:02:34
[프라임경제] “목포에서 설치 기사 노동자가 고객 댁내 거실에서 사다리 작업을 하던 중 낙상하여 발가락이 골절되는 상해를 당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오히려 그 노동자에게 안전화를 신지 않았다고 경고 조치를 했습니다. 과연 집 안에 안전화를 신고 들어갈 수 있도록 허락하는 고객이 있겠습니까?”
KT서비스 소속 기사들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노동자 사고 발생 시 책임을 회피하려는 회사를 규탄했다. KT서비스는 KT(030200)의 통신 및 미디어 상품 설치 유지 보수하는 일을 하는 하청계열사다.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KT서비스지부(이하 지부)는 29일 KT광화문빌딩 앞에서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KT서비스 안전 설문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지부에 따르면, 그간 △피살 △감전사 △추락사 등 안전사고를 겪어온 KT서비스 노동자들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회사가 노동자 안전을 위한 노력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법 시행 이후에도 KT서비스는 오히려 노동자를 탄압하고 사고 발생 시 책임 회피에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이날 송영숙 희망연대노조 공동위원장은 “우리 노동조합은 이런 재해 원인이 KT서비스의 높은 업무 강도와 저임금 실적 압박 속에서 노동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며 작업장으로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수차례 지적해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KT서비스의 고질적인 안전 문제는 전혀 개선되고 않았다”며 “암행 감찰이라는 비상식적 형태로 노동자를 감시하고, 사고 발생 시 처벌을 피하기 위해 안전 재해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이들 발표에 따르면 KT서비스는 암행감찰을 통해 작업장에 들어가기 전 편의점에 다녀오는 직원의 사진을 찍어 안전모 미착용으로 적발하는 등 실효성 없는 조치만 이어가고 있다.
정작 인력 충원이 되지 않아 노동자 안전과 직결되는 2인1조 원칙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것.
심지어 고객의 집 안 거실 내에서 사다리에 올라 천장 전주 작업 중 추락해 발가락이 골절된 직원에게는 ‘안전화 미착용’을 이유로 경고를 내렸다.
이동환 KT서비스지부 지부장은 “회사는 산업재해가 일어나면 회사 과실을 감추는 데 급급했고 노동자가 고객 흉기에 찔려 살해 장했을 때는 직원들의 조문을 막아 입막음하기 급급했다”며 심지어 “작업 중 직원이 다치면 산재처리를 하지 않고 다 병가 처리를 한다”고 말했다.
이 지부장은 “얼마 전 장비를 가지러 계단에서 내려오다가 발을 삐끗해 발목 인대가 늘어난 직원이 있는데, 평소 회사 압박 때문인지 자기 연차를 사용하는 병가 처리를 하더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 지부는 현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KT서비스의 안전 조치에 대한 전 직원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의 절대 다수는 현재 KT서비스의 조치가 현장의 안전 강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이들이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회사의 암행감찰 등 조치가 과도하다고 답변한 비율이 전체의 85%가량이나 됐다.
설문 답변을 보면 회사는 암행감찰을 통해 현장이 아닌 도보 중에도 안전모 착용을 강요했으며 더워서 안전모 벗고 땀 닦으려고 한 직원의 안전모 벗은 사진을 찍었다. 이에 한 KT서비스 직원은 “암행감찰 인력을 충원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그 인력이면 현장 인력을 충원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위험 작업 2인1조 즉각 시행하고 노후된 전신주는 안전장치를 개선해야 한다”며 “이러한 조치 없이 노동자 감시로만 책임을 떠넘기는 KT서비스에 엄중히 경고한다”고 선언했다.
또 “노동자의 생사가 달린 안전 문제는 암행감찰로 해결될 수 없다”며 “현장의 실제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안전조치를 시행해야 한다. 그 출발은 노동조합과의 대화”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