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벨] KT, 명맥 잇는 관료 출신 사추위원…외풍 가능성 여전
작성자: 최종관리자 | 조회: 267회 | 작성: 2021년 7월 23일 9:46 오전[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시스템 점검]
KT, 명맥 잇는 관료 출신 사추위원…외풍 가능성 여전
위원장도 2년 연속 전직 관료 몫, 규제 산업 한계 탓 불가피 측면 존재
이 기사는 2021년 07월 21일 11:2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이사회 내에서 가장 존재감이 크다. 사외이사 의장 선임을 원칙으로 하는 등 사외이사가 이사회 운영 주도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사회 독립성을 강화한다는 취지지만 관료 출신 사추위원 명맥이 이어지면서 정부 입김에 취약한 구조라는 지적도 나온다.
전자공시에 따르면 KT는 이사회 내에 8개 소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사추위는 사외이사 전원과 사내이사 1명이 속해 있어 대표이사후보심사위원회와 더불어 최대 규모다.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사외이사 스스로 구성원을 정할 수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수 대기업은 사내이사가 주류였던 이사회 문호를 사외이사에게 개방하는 추세지만 KT는 정반대다. 민영화 첫해부터 외부 출신 인사들이 이사회를 주도했다. 이사회 구성원의 70%를 넘는 사외이사들이 사추위를 운영하고 대표이사 선임에도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사실상 이사회 인사권을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사추위에 관료 출신 인사가 꾸준히 기용되면서 KT는 정부 입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이석채, 황창규 두 전임 KT 회장이 낙하산 논란에 시달린 것도 사추위 구성과 무관치 않다. 지난해 내부 출신인 구현모 KT 대표이사가 취임하면서 외풍 논란이 잦아들었으나 내년 대선 이후 다시 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지난해 사추위 구성원을 보면 여전히 관료 출신이 속해 있다. 유희열 사외이사는 김대중 정부 시절 과학기술부 차관을 지낸 인물이다. KT가 영위하는 이동통신, ICT 분야 전문가라는 점에서 전문성을 갖췄고 친여권 성향의 인사라는 점도 감안된 인사다.
2019년 유 이사와 함께 사추위에서 활동한 김대유, 이강철 사외이사 역시 관료 출신이다. 김 이사는 참여정부 대통령 비서실 경제정책수석비서관을 지냈다. 이 이사는 참여정부에서 시민사회수석비서관, 정부특보를 맡았다.
관료 출신 중용이 중용되는 기조는 이번 정권에 그치지 않는다. 2014년, 2016, 2017년 세차례나 사추위원으로 활동한 송도균 전 사외이사는 이명박 정부 시절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다. 취업제한 규정이 풀리자마자 방통위 상임위원에서 규제 대상인 KT로 직행해 논란을 야기했다.
2012년 허증수 전 사외이사, 2012~2014년 이춘호 전 사외이사는 정치권 출신이다. 허 전 이사는 이명박 대통령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했다. KT에 필요한 별다른 전문성을 갖추지 않았음에도 보은인사 성격으로 이사회에 합류했다. 이 전 이사는 이명박 정부 초대 여성부장관 후보자로 물망에 올랐으나 각종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퇴했고 KT 이사회로 방향을 틀었다.
2019~2020년 김 이사와 유 이사가 잇따라 사추위원장을 맡으면서 관료 출신 사외이사에 더 힘이 실리는 추세다. 최근 현대미디어를 인수하기로 하는 등 유료방송 M&A 활성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규제 산업인 이동통신, 유료방송 사업을 영위하려면 정부와 소통할 수 있는 구심점 마련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도 존재한다. 다만 정권 변화에 따라 이사회 주축인 사외이사 선임 기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