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의 계급 배반, 그 뿌리엔 ‘자칭 진보주의자들’에 대한 절망이 있다

대중의 계급 배반, 그 뿌리엔 ‘자칭 진보주의자들’에 대한 절망이 있다

문학수 선임기자

sachimo@kyunghyang.com

누가 내 생계를 위협하는가…크리스 헤지스 지음·노정태 옮김 | 프런티어 | 376쪽 | 1만6000원

이 책은 뉴욕주 랜싱에 사는 한 남자의 이야기로 막을 연다. 그는 12번 도로를 따라 걷고 있었다. 초록색 배낭에는 커다란 성조기가 묶여 있었다. 저자인 크리스 헤지스가 그의 곁에 차를 세우고 “지금 뭐하는 거냐?”고 묻자, 그는 자신이 지금 “자유의 행진을 하고 있다”고 자랑스럽게 말한다. 스물다섯 살의 해병대 예비역으로 현재 실직 상태인 그는 엿새 동안에 150㎞를 주파하는 ‘캠페인성 걷기’에 참여하고 있었다. 행진의 목적은 “24번 선거구에서 민주당의 마이클 아쿠리 하원의원의 자리를 공화당 후보로 갈아치우기 위해서”였다.

저자는 내친 김에 그의 주장을 조금 더 경청한다. 한데 어찌 보면 그 주장이라는 것이 온통 뒤죽박죽이다. 실직 상태가 되기 전에 비정규 건설 노동자로 일했던 그 청년은 “민주당이 다수를 차지하는 의회에서 최근 통과된 건강보험 법안에 반대”한다. 반면에 “연방정부가 월스트리트에 구제금융을 투입하기로 한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며 정부의 경기부양책과 실업구제 정책의 실패에 항의하는 보수주의 정치운동인 ‘티 파티 운동’에 지지를 보낸다. 또 지난 대통령 선거 때는 공화당의 존 매케인을 지지했지만 현재 호감을 느끼는 정치인은 좌파로 알려진 하원의원 데니스 쿠치니치다.
저자의 표현에 따르자면 그는 “저항의 새로운 측면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한창 나이의 그는 군대 문화에 길들여진 채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사회가 그를 절망에 빠트렸다. 직장을 구하지 못해 울화가 치민 그는 연방정부에 깊은 불신을 품게 됐고 이른바 진보주의자들을 불신하게 됐다는 것이다. 좌우의 대중주의(populism)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그의 모습은 오늘날 미국 사회에서 매우 일반적 양상이라는 것이 저자의 지적이다. 그 젊은이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한다. “미래에 대해 생각하면 너무도 두렵습니다.”

왜 이렇게 됐을까? 저자는 “현재 미국의 수천만 노동자들이 표출하는 분노”가 “지난 30여년간 노동자와 중산층의 최소한의 이익도 지켜내지 못한 진보주의자들에게 느끼는 배신감”과 다르지 않다고 진단한다. 이른바 진보주의자들이 “진보적 단체 안에서 자신들의 입지가 흔들릴 것을 두려워해 점점 완고”해지는 동안, “기업들은 숱한 악행을 저지르고 민주주의적 국가는 와해됐으며, 일반 시민의 이익을 지켜주던 기본법률의 내장까지 뽑아 팽개치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는 것이다.

저자는 시곗바늘을 1917년으로 되돌려 진보의 죽음을 되짚는다. 비 오고 음울했던 4월2일,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은 백악관을 벗어나 의회로 발걸음을 향한다. 혹여 무정부주의자들의 테러가 있을까봐 기병대의 호위를 받은 채였다. 그는 열렬한 환호를 받으며 입추의 여지가 없는 하원에 당도해 36분짜리 연설을 행한다. 마지막 결론은 “독일제국의 항복을 얻어내고 전쟁을 끝내기 위해 모든 힘과 자원을 즉각 총동원한다”는 것. 윌슨의 제안은 하원에서 373표 대 50표의 압도적인 지지로 통과됐고, 연설이 있은 지 4일 후에 마침내 전쟁이 선포된다.

2009년 9월 수도 워싱턴 DC의 의회 앞에서 의료보험 개혁에 반대하면서 시위를 벌이는 미국 시민들. 시민들이 자신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의료보험 개혁에 반대하는 등 혼란한 정체성을 보이는 이유는 지난 30여년간 미국 내 진보주의 지식인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미국의 저널리스트 크리스 헤지스는 지적한다. 경향신문 자료사진

 

그것이 바로 저자가 바라보는 ‘진보 몰락’의 시작 지점이다. 일단 저자는 “전쟁은 지난날 미국적인 삶을 나타냈던 가치와 자아상을 파괴하고 공포, 불신, 소비사회의 쾌락주의를 낳은” 신호탄이었다고 바라본다. 아울러 “사실보다 감정에 호소하는 대중선동의 기술”이 미국 땅에 휘몰아친 계기였다고 강조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자면, ‘실제적 진보주의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급진주의자들(radicals)에 대한 탄압은 이때부터 고개를 쳐들었으며, 1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황금기를 구가했던 미국의 진보운동에는 마침내 균열이 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렇게 시작된 미국의 ‘진보 대학살’이 1950년대 매카시즘 광풍에서 절정에 달했다는 얘기다.

물론 새로운 분석은 아니다. 하지만 저자는 이 과정에서 침묵했던 자유주의자들(liberals)에게 주목한다. 그들은 한때 급진주의자들과 협력했지만 공포의 시대가 닥쳐오자 태도를 180도 바꿨다는 것이 저자의 설명이다. ‘모르쇠’로 일관하거나 때로는 고발정신을 발휘해 자신의 살길을 찾기도 했다는 것이다. 책에는 이와 관련해 허다한 사례들이 등장한다. 저널리스트 출신의 저자는 그 지점에서 때때로 통분(痛憤)의 심정을 드러내기도 한다. “부와 권력의 유혹에 굴복하고 타협한” 그 자유주의자들이 오늘날 미국에서 ‘진보주의자’로 불리는 일군의 무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의 속도감 넘치는 문체는 때때로 주체할 수 없는 격정을 드러낸다.

이제 저자가 책의 서두에 갈팡질팡하는 젊은이를 등장시켰던 이유가 보다 명확하게 드러난다. 오늘날 대중이 보여주는 ‘계급 배반’은 어디에서 비롯하는가? 그것은 ‘자칭 진보주의자들’을 더 이상 믿을 수 없다는 절망감에서 온다는 것이 저자의 입장이다. 그래서 이 책은 ‘노동 없는 민주주의’가 거론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에서도 매우 유의미해 보인다. 저자인 크리스 헤지스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뉴욕타임스 특파원으로 일했으며, 지금은 미국의 비영리 미디어센터인 네이션연구소의 선임연구원으로 있다. 책의 원제는 ‘Death of The Liberal Class’다.




현장의 목소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