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한국일보
|
조회: 1245회
|
작성:
2012년 4월 25일 12:42 오후
"KT 인력 퇴출 프로그램 6년간 216명 사망"
KT노동인권센터 주장
"본사·계열사 재직·퇴직자 암91·돌연사 63·자살 16명… 90%가 퇴출 스트레스 탓"
KT 측은 의혹 부인
"일부 지사서 문건만 작성 실제로는 시행한 적 없어"
남보라기자 rarara@hk.co.kr
입력시간 : 2012.04.25 02:42:54
KT가 2006년부터 고강도의 인력 퇴출 프로그램을 시행한 이후 지금까지 200명이 넘는 직원이 사망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KT의 노동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단체인 KT노동인권센터는 24일 "KT 본사의 재직자 및 퇴직자, 계열사 직원 중 퇴출 스트레스로 인한 돌연사 및 자살 등으로 인한 사망자를 집계한 결과 지난 6년간 총 216명에 달했다"며 "KT 경영진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며 고용노동부는 역학조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KT노동인권센터에 따르면 사망자는 KT 본사 재직자가 110명, 58세 미만 퇴직자가 93명, KT 계열사 및 도급업체 재직자가 12명이다. 사망원인으로는 백혈병 간암 등 암이 91명으로 가장 많았고, 심장마비 등 돌연사가 63명이며, 자살한 노동자도 16명이나 됐다.
2010년 기준 10만명 당 암 사망자가 144.4명, 자살자가 31.2명인 것에 비춰보면 전체 직원수가 3만5,000여명(2008년 기준)인 KT(계열사 제외)의 암 사망자 85명, 자살자 14명은 국민 평균치보다 30~70% 높은 수치다. 조태욱 KT노동인권센터 집행위원장은 "교통사고 등 불의의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도 있으나 사망자의 90%가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KT는 2002년 민영화 이후 2003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구조조정을 진행, 1만여명의 인력을 감축했다. KT노동인권센터는 회사가 이 과정에서 2006년부터 CP(부진인력) 퇴출 프로그램을 시행, 대상 노동자들을 생소한 업무 혹은 주거지에서 먼 근무지에 배치하거나 사생활을 감시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114 전화 교환원으로 일하던 여성 노동자들을 전신주 위에 올라가 작업하는 개통업무로 발령 내거나, 출퇴근만 4시간이 넘게 걸리는 곳으로 전보 발령하기도 했다. KT노동인권센터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사측은 2005년 1,002명의 노동자를 CP관리 대상으로 분류했으며, 2006년 'CP관리 교육 문건'을 작성하는 등 퇴출을 압박했다. CP관리 대상자에는 명예퇴직 거부자, 노조 활동가 등도 포함돼 있다.
지난해 "KT 재직 시 퇴출프로그램을 시행했다"며 양심선언을 한 전 KT 관리자 반기룡씨 역시 "회사 지침대로 퇴출 대상 직원의 일일 동태를 파악하고 계속 경고장을 발부해 퇴사를 압박하면서 나 역시 중증 우울증에 걸려 입원을 반복하다 명예퇴직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KT측은 모든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CP 관리와 관련된 문건은 충북 등 일부 지사에서 체질 개선 등을 위해 작성한 것으로 실제로 시행되지는 않았다"며 "KT 직원의 평균 연령이 40대 중반이다 보니 사망자가 발생하지만 2006년 이후 급격히 증가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KT의 노동인권 문제가 제기되자 지난해 세 차례 특별근로감독을 한 데 이어 지난 2월에도 한 달간 전국 150여개 지사에 대해서도 특별근로감독을 했지만 그 결과는 발표하지 않고 있다. 감독을 담당한 성남고용지청은 본청에 관련 보고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담당자는 "아무 것도 말할 수 없다"고만 말했다.
조태욱 집행위원장은 "프랑스의 프랑스텔레콤의 경우 2004년부터 5년간 약 16만명의 직원 중 6만명을 정리해고하고 7만명을 전환 배치하면서 2008년부터 1년 반 동안 25명의 노동자가 자살해 경영진이 사퇴하고 전환배치를 중단했다"며 "고용부는 KT 감독 결과를 공개하고 역학조사에 나서야 하며 KT 경영진은 현 사태를 책임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