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이 제구실을 해야할 때

한겨레 기사 일부 발췌
---------
케이티 안팎에서는 신임 사장이 ‘낙하산 사장’이란 점을 들어, 적잖은 후유증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임원 승진 및 영입 인사를 하거나 4세대 이동통신 기술 방식 등을 결정할 때마다 ‘보은 인사’ 내지 ‘정부 정책 떠받치기’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는 것이다. 케이티의 한 임원은 “‘어느 임원이 정권 실세 누구에게 부탁해 승진했다’, ‘이번에 영입된 임원은 어느 정치인 사람이다’, ‘어느 업체가 어느 실세에게 부탁해 공사를 수주했다’, ‘케이티를 위한 게 아니라 정부 정책을 뒷바라지하는 것이다’라는 뒷말이 난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케이티 임직원들은 이런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신임 사장이 과거 어느 사장보다 경영을 투명하게 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원 인사나 협력업체 선정 때 정치권이나 정부 쪽의 청탁을 들어주는 모습을 보일 경우, 케이티 임직원들이 정부와 정치권에 줄을 대고, 협력업체들이 정치권이나 정부 쪽의 힘을 빌려 납품이나 공사 자격을 따는 일이 성행하던 공기업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임직원들은 앞선 지배구조의 장점을 살리고, 정권 교체 때마다 특정 지역 출신이 득세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내부 균열을 메우는 것도 신임 사장의 숙제로 꼽았다. 케이티는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선진경영체제를 갖고 있다. 하지만 최고경영자가 사외이사를 친분있는 사람들로 채우고, 노동조합 역시 제구실을 못하면서 효과를 살리지 못했다. 케이티 관계자는 “사장과 임원이 비리 혐의로 줄줄이 구속된 데는 사외이사와 노동조합이 제구실을 못한 책임도 크다”며 “이사회가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섭 기자 jskim@hani.co.kr




현장의 목소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