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폭력 이제는 사라져야 합니다
작성자: 뉴스 | 조회: 1105회 | 작성: 2010년 1월 15일 11:36 오후 [뉴스데스크]◀ANC▶
얼굴을 보지 않고 상대에게 말을 할 때, 좀 더 표현이 무례해질 때가 있죠.
MBC 연중기획 품격 있는 사회, 오늘은 익명 뒤에 숨어서 막말하는 현실을 들여다봅니다.
전재호 기자입니다.
◀VCR▶
쉴 틈도 없이 울려대는 전화벨.
114 안내원들은
이름도 얼굴도 모르는 사람들을
매일 수백 명씩 전화를 통해 만납니다.
대부분 점잖게 혹은 예의를 갖춰
전화번호를 묻지만
그런 사람들만 있는 건 아닙니다.
다짜고짜 반말을 하거나
◀SYN▶
"내가 왜 너희들한테 전화했는지 알아?"
느닷없이 화를 내기도 하고
◀SYN▶
"뭔데 미***아!, 뭘 연결을 하냐고.
씨***아! 돈 없으면 말해."
괜한 트집을 잡기도 합니다.
◀SYN▶
"사장 바꿔, 사장 핸드폰 번호 알잖아.
불러!"
반말에서 욕설까지,
114 안내원들에게는
그날의 나쁜 기억을 지우는 것이
중요한 하루 일과 중의 하나입니다.
◀INT▶ 전정임/KTis 콜센터
"그걸 기억하면 일을 하려야 할 수 없어요.
처음 들어보는 이상야릇한 욕도 하시고
성적인 비유를 들어 욕을 많이 하시거든요.
그걸 기억을 하면 여기 있겠냐고요.
여기 못 있죠."
하지만 좀체
지워지지 않는 기억도 있습니다.
이름도 얼굴도 드러나지 않는다고
무심하게 뱉은 말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INT▶ 최윤정/KTis 콜센터
"처음 들어와서 얼마 안 된 직원인데
근무를 하다가 울더라고요.
험한 욕을 들었나 봐요.
자기는 그걸 듣고 심장이 벌렁벌렁 거린대요.
그래서 사표 쓰고 나간 친구가 있어요."
얼굴을 숨기고,
이름을 가린 채 오가는 험한 말들,
이런 말들이 오가는 곳 가운데 하나는
소통의 장인 인터넷입니다.
지난 한 해 인터넷에서는
크고 작은 소동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름과 얼굴은 물론이고
목소리까지 드러나지 않는 익명의 뒤에서
함부로 쏟아내는 무절제한 언어들.
그것은 폭력과 다르지 않습니다.
익명으로 날아드는 언어폭력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됐던 사람들은
그 당시 어떤 생각을 했을까.
◀INT▶ 윤서인/인터넷 만화가
"대응을 하려는데, 키보드가 안 눌러져요.
ㄱ을 눌러야 하는데 손이 떨려서 ㅅ누르고
이런 경우도 있어요. 힘든 밤에는
정말 정신이 하나도 없고
몸도 이렇게 막 경련이 일어나는
경험도 했었고요."
인터넷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고 여론의 광장입니다.
그러나 절제되지 않은 언어로 인해
광장은 좁아지고
소통이 막힐 수도 있습니다.
◀INT▶ 전상진 교수/서강대학교
"인터넷의 가장 큰 장점은
어떤 것도 고려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곳이다 라는 것인데,
그러한 과정 속에서도
기본적으로 지켜야 되는
어떤 룰이랄까 도덕이랄까 하는 부분은
분명히 있는 것 같아요."
이름, 얼굴이 드러나지 않는다고
익명 뒤에 숨어 오가는 험한 말들,
우리 사회의 품격을 보여주는 한 단면입니다.
MBC 뉴스 전재호입니다.
(전재호 기자 onyou@mbc.co.kr)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