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무자격 업체들에게 공사·용역 등 일감을 몰아주고 특혜를 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참여연대와 공공운수노조 KT지부는 29일 오후 서울 KT 광화문지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KT 이석채 회장 체제에서 무자격 업체들에게 일감 몰아주기 특혜를 준 의혹이 내부제보를 통해 제기됐다”며 “세계 7대 자연경관 국제전화사기 사건과 서유열 KT 사장의 민간인 불법사찰을 지원한 대포폰 개통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이석채 회장은 즉각 퇴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내부제보자는 2010년 1월에서 2011년 2월 사이 KT 글로벌앤엔터프라이즈부문 하도급 계약 현황을 조사했다. 대부분의 협력업체가 공사나 용역을 1회 수행했는데, 특이하게 많은 횟수의 공사·용역을 수행한 업체가 발견됐다. 인하통신 12회·제이엠아이 16회·한스콤정보통신 20회 등 정보통신 공사가 3개 업체에 집중된 것이다.
그런데 이들 중 제이엠아이는 정보통신공사업 신고를 하지 않은 무자격 업체였다. 용역계약은 인투플랜 17회·인하통신 2회·제이엠아이 2회에 걸쳐 이뤄졌다.
이들 단체는 “세 업체 모두 엔지니어링사업자로 신고하지 않은 채 용역업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KT가 무자격 업체들에게 일감을 몰아준 대가로 뇌물을 수수하고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내부제보자는 2011년 공사 몰아주기 특혜 의혹에 대해 내부 결재라인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지만 묵살되자 정성복 윤리경영실장을 직접 찾아가 시정을 요청했는데도 윤리경영실은 아무런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며 “윤리경영실이 나서 위법사실과 관련한 KT 안팎의 문제를 은폐하거나 무마하는 역할까지 한 것이 아니냐”고 반발했다.
KT노동조합을 포함해 KT그룹 11개 노동조합 소속 조합원 3만여명이 한국노총 IT사무서비스연맹에 가입했다.
30일 한국노총에 따르면 KT노조는 지난 2009년 민주노총을 탈퇴한 후 최근까지 한국노총 가입을 추진해왔다.
한국노총 IT사무서비스노동조합연맹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회의실에서 KT노조와 함께 기자간담회를 열고 "KT그룹노조협의회 소속 11개 노동조합의 연맹 가입 신청을 인준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이 연맹의 규모는 28개 조합 2만여명에서 39개 조합 5만여명으로 늘었다.
정윤모 KT노조 위원장은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노동자들이 하나의 깃발 아래 단결하는 것이 노동조건 개선과 인간 본위의 ICT 산업생태계 구축의 대전제"라며 "연맹 가입을 계기로 창조경제 핵심가치인 ICT 산업 진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래창조과학부 등 정부의 발표에는 정작 창조경제를 실행해 나갈 핵심 주체인 ICT 노동자의 목소리는 빠져 있다"며 "KT그룹 동지들이 가입하면서 교섭력과 투쟁력을 배가한 IT사무서비스노련은 열악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고용안정·정년연장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KT노조와 KT는 그간 원만한 노사관계로 상생협력의 모범이 됐다"며 "노사 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경영위기를 돌파해 나가고 고용안정 강화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간담회에서 조합원 수가 적은 민주노총 소속 새노조(제2노조)를 겨냥해 "소수노조가 마치 KT 구성원 전체를 대표하는 것처럼 대외활동을 하고 내부적으로는 갈등과 모략을 일삼아 조직을 와해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