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장의 목소리
  2. 자유게시판
  3. KT - 노동자 추모관
  4. KT노동인권센터
  5. KT민주동지회페북
  6. 유튜브 투쟁영상
  7. 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
  8. 규약 회원가입
  9. KT노동자 추모관
  10. KT 세노조 일파만파
  11. KT 노동조합
  12. 민주노동조합 총 연맹
글 수 9,485
KT, ‘세계 7대 경관’ 의혹 폭로 노조위원장 해고
진단서 제출, 일주일 전 조퇴신청 했지만 불인정, ‘무단조퇴·결근’으로 해임 결정
박장준 기자 | weshe@mediatoday.co.kr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btn_textbig.gif btn_textsmall.gif btn_print.gif btn_send.gif btn_ermail.gif
<iframe height="25" marginheight="0" src="/banner/naon_mt_top.html" frameborder="0" width="650" marginwidth="0" scrolling="no" align="center"></iframe>
<script language="javascript"> document.write("\<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 document.write("\</script>"); document.write("\<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show_ads.js\"\">"); document.write("\</script>");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google_ad_client = "pub-1552120123230836";google_ad_slot = "1060269461";google_ad_width = 250;google_ad_height = 250;</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show_ads.js"></script> <iframe style="POSITION: absolute; TOP: 0px; LEFT: 0px" id="aswift_2" vspace="0" onload="var i=this.id,s=window.google_iframe_oncopy,H=s&&s.handlers,h=H&&H[i],w=this.contentWindow,d;try{d=w.document}catch(e){}if(h&&d&&(!d.body||!d.body.firstChild)){if(h.call){setTimeout(h,0)}else if(h.match){w.location.replace(h)}}" height="250" marginheight="0" frameborder="0" width="250" allowTransparency name="aswift_2" marginwidth="0" scrolling="no" hspace="0"></iframe>

KT가 지난해 진행한 세계 7대 자연경관 선정 전화투표에 대해 ‘KT가 해외전화망 접속 없이 국내전화망 안에서 신호처리를 종료하고도 소비자들에게는 국제전화요금을 청구했다’는 의혹을 언론 등에 폭로한 이해관 KT새노조 위원장을 지난 28일 해임했다.

KT는 관련 폭로, 노조 활동과 상관없이 무단결근·조퇴로 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해관 위원장과 시민단체들은 공익제보와 노조 활동에 따른 ‘보복 해고’라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징계에 불복해 대통령직 인수위 앞에서 항의할 계획을 밝혔다.

이해관 위원장은 ‘국제전화 의혹’을 폭로한 뒤 지난 4월 30일 국민권익위원회에 ‘공익신고’했다. 그러나 5월 7일 KT는 이 위원장을 경기도 가평지사로 전보조치했다. 8월 28일 권익위원회는 KT에 전보조치를 철회할 것을 주문했으나 KT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12월 28일 KT는 무단조퇴와 결근을 사유로 이 위원장을 해고했다.

  106894_106066_2735.jpg  
▲ 경기도 안양에서 가평으로 출퇴근하는 이해관 KT 노조 위원장 ⓒ슬로우뉴스
<iframe style="WIDTH: 100%; HEIGHT: 60px" noResize marginheight="0" src="http://p.lumieyes.com/frm2.asp?domain=mediatoday.co.kr&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94" frameborder="0" marginwidth="0" scrolling="no"></iframe> 

이해관 위원장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지난 10월 15일부터 ‘요추염좌’로 한 달 동안 출근을 하지 못했다. 이 위원장은 15일 휴가를 쓴 뒤 16일 ‘병가’를 신청했으나 이를 거부당했다. 이튿날 그는 병원에 나흘 동안 입원한 뒤 20여 일 통원 치료를 받았다. KT 사규에 따르면 병가는 그 사유를 추후에 제출해도 된다. 이 위원장은 2009년 진단서를 제출했고, 추후 입원 및 통원치료 기간에 발급받은 진단서를 회사에 제출했다.

‘무단조퇴’의 경우 이 위원장은 일주일 전에 이를 회사에 알린 경우다. 이 위원장은 12월 5일 호루라기재단으로부터 특별상, 이튿날 한국투명성기구에서 ‘투명사회상’ 수상자로 선정돼 시상식에 참여하기 위해 11월 30일 회사 측에 조퇴를 신청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 위원장은 관리자에게 수차례 조퇴를 요청했다. 그러나 KT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이해관 위원장은 대선이 끝나자마자 이루어진 보복인사라고 비판했다. 이 위원장은 30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노동조합 활동과 공익제보를 동시에 탄압하는 보복인사”라며 징계를 비판했다. 그는 민주노총, 참여연대 등과 함께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며 징계위 재심 신청, 법적 소송 등을 모두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징계가 대통령선거 직후 일사천리로 이루어진 점도 의문이다. 이해관 위원장은 “대선이 끝나자마자 징계가 이루어졌다”면서 “박근혜 당선자가 ‘경제민주화’를 얘기했는데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처리하는지 밝혀야 한다”며 인수위 앞 1인 시위 계획을 밝혔다. 그는 이르면 오는 1월 2일부터 1인 시위를 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KT는 결근·조퇴 절차와 내용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용하지 않았고, 이는 무단결근과 징계라는 입장이다. KT 홍보팀 박승근 차장은 통화에서 ‘결근’에 대해 “노조 활동과 대외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병가’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병가 신청 과정에서 이해관 위원장이 최초 2009년 진단서를 제출했다고 전했다.

무단조퇴의 경우 그 내용이 문제가 된다고 박승근 차장은 말했다. 박 차장은 “KT가 거짓말을 했다는 폭로로 상을 받는데 결정권자가 (조퇴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번 징계는 노조 활동, 대외 활동과 전혀 상관이 없다”고 강조했다.

  106894_106067_288.jpg  
▲ KT의 기업이미지. KT 누리집에서 내려받음.
<iframe style="WIDTH: 100%; HEIGHT: 60px" noResize marginheight="0" src="http://p.lumieyes.com/frm2.asp?domain=mediatoday.co.kr&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894" frameborder="0" marginwidth="0" scrolling="no"></iframe>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KT가 공익제보자를 탄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공익제보자와함께하는모임·한국투명성기구·호루라기재단·참여연대는 28일 낸 성명에서 이해관 위원장이 △허리질환으로 병원 입원 후 KT에 진단서를 첨부하여 제출했고 △공익제보자 시상식 참석 이전에 회사에 이를 미리 알리고 조퇴한 점을 강조했다.

이들은 “KT가 이렇듯 해임이라는 무리한 징계를 강행한 것은 세계 7대 경관 전화의혹을 폭로한 공익제보자를 확실히 입막음하기 위해 다른 구실로 재차 탄압하기 위한 의도임이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들은 징계위원회 재심과 노동위원회 제소 등 징계불복 절차에 있어 이해관 위원장을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그녀는 왜 전봇대에? KT 퇴출프로그램 - SBS 현장21(11.5.17방영 동영상) 51 movie
최종관리자
2011-05-18 843448
공지 KT본사가 작성한 퇴출 대상 노동자 명단 1,002명을 공개하며 1 file
아름다운 삶
2011-12-24 735582
공지 절대, 속지 마세요! (업무 아웃쇼씽 : 버티는 길만이 사는 길입니다.) 6 imagemovie
2008퇴직자
2011-07-25 938828
공지 "kt 그리고 살생부" (청주mbc '시사매거진 창' 2012.12.26.방송) 동영상 imagefile
민주동지회
2012-12-27 936708
공지 (11.10.7동영상) kt노동부 특별감사 [더 이상 죽이지 마라] movie
최종관리자
2011-10-11 809638
공지 2011-10-11-mbc-pd수첩(KT인력퇴출프로그램) 방영 동영상 movie
최종관리자
2011-11-22 785090
공지 KT의 희망없는 희망퇴직 이야기 ...!!! (2014.9.15방영 mbc다큐스페셜)
최종관리자
2014-10-21 810709
공지 [성명서] KT부진인력퇴출프로그램(일명 CP) 의 불법성을 확정한 대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판결문 첨부] file
최종관리자
2015-06-24 656119
공지 박근혜정권과 황창규회장이 쉬운해고 퇴출사례 전시회를 하도록 만들었다!! imagefile
인권센터
2016-01-30 628307
공지 [속보] 예비후보 매수, 조합비 유용! 범죄자 정윤모는 즉각 사퇴하라!! [불법비리 증거자료 첨부] imagefile
최종관리자
2016-03-10 646820
공지 [성명서] 한국노총은 IT연맹위원장 정윤모의 조합비유용 비리에 대해 단호하게 조치하라! [불법비리 증거자료 첨부] file
최종관리자
2016-03-30 637315
공지 [성명서] IT사무서비스노련 정윤모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it연맹정상화추진위
2016-06-13 630574
8864 KT, 유덕상 전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 해고 image
매일노동뉴스
2013-01-02 16427
8863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마라!
자중자애
2013-01-02 3220
8862 CBS 김미화의 여러분! KT 새노조 이해관위원장 인터뷰(인수위 앞 항의할 것) 1
서울
2012-12-31 4404
KT '세계 7대 경관" 의혹 폭로 노조위원장 해고 image
서울
2012-12-31 4375
8860 법원, KT '납치의혹' 제기 노동자 상대 1억원 손배소송 기각 image
도둑
2012-12-28 3271
8859 노동조합 대법2012다108351 상고이유 file
그루
2012-12-28 2859
8858 성탄과 새해
밥상머리
2012-12-25 18547
8857 감사합니다. 1
껌뫼
2012-12-23 3811
8856 정년퇴임에 즈음하여 2
껌뫼
2012-12-19 4252
8855 [민주통신] 12월호_ 통신 공공성 회복을 위한 kt가족선언 imagefile
최종관리자
2012-12-18 12547
8854 9주차 촛불집회 imagefile
광화문
2012-12-15 3142
8853 대선 앞두고 KT 낙하산 인사들 대규모 승진 뒷말 무성(펀글) 1 image
서울
2012-12-14 4660
8852 올해의 호루라기상 image
서울
2012-12-14 4042
8851 12.13(목) CBS 라디오 진행: 김미화■ 게스트 : KT 새노조 이해관 위원장
서울
2012-12-14 4029
8850 MB의 거짓말, 세계가 놀랐습니다 image
허심
2012-12-14 3754
8849 이석채의 꼴찌탈출 푸쉬가 873만 정보유출 화를 불렀다 image
연합뉴스
2012-12-14 4698
8848 KT노동인권센터, '세계인권선언일' KT 인권현실 고발 image
미디어스
2012-12-11 5180
8847 부당 인력퇴출 막으려면 부당해고 형사처벌 재도입해야 image
매일노동뉴스
2012-12-11 4070
8846 KT노동인권백서 발간기념 집담회 개최 imagefile
인권센터
2012-12-11 3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