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12사태시 김오랑소령을 기억하시나요?
정병주 장군을 기억하시나요?
12ㆍ12 쿠데타 성공 후 군부를 장악한 정치군인들.
13일 새벽 3시, 송파구 거여동의 특전사령부 건물을 뒤흔든 요란한 총성은 군사 반란의 성공을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반란을 진압하려던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하기 위해 들이닥친 쿠데타군과 사령관을 보호하려던 특전사령관 비서실장 김오랑 소령 사이에서 벌어진 총격전이었죠. 이 총격전에서 반란에 동원된 3공수여단 15대대 병력 10여 명에 의해 김오랑 소령이 피살되고, 정병주 특전사령관은 왼팔에 관통상을 입은 채로 보안사 분실로 끌려갑니다. 공수부대의 총사령관이 휘하 부하들에 의해 체포되는 이 장면은 12.12 군사반란의 성격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육사 25기 출신의 김오랑 소령은 육군대학을 수석졸업하고, 특전사에서 잔뼈가 굵은 유능한 장교였습니다. 사령관의 곁을 지켜야 할 참모들마저 반란세력에게 회유 당하거나 일신의 안전을 위해 몸을 피했을 때, 김 소령은 권총 한 자루를 가지고 정병주 사령관의 곁을 지켰습니다. 쿠데타군이 쏜 M-16 소총탄에 복부와 허벅지, 가슴에 여섯 발의 총상을 입은 그는 현장에서 사망합니다. (총격전 직후 현장을 보았던 목격자는 김오랑 소령이 숨은 쉬고 있었고, 빨리 후송했더라면 살았을 수도 있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김 소령의 비극은 그 한 사람의 죽음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었습니다. 역사의 잔인한 수레바퀴는 집안을 풍비박산시켰죠. 신혼의 단꿈에 젖어 있던 부인(백영옥)은 사랑하는 남편을 잃은 충격에 눈이 멀었고, 비명에 간 막내아들의 이름을 애타게 부르던 김 소령의 어머니는 2년 뒤 눈도 채 감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아들이 반란군의 총탄에 맞아 숨진 것도 원통한데 그 시신마저 암매장(부대 뒷산에 매장되었던 김 소령의 시신은 이듬 해 2월28일, 육사 동기들의 항의와 노력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었습니다) 되었으니 어머니의 심정은 어떠했을까요? 김 소령의 부인 백영옥 씨는 거주하던 군인 아파트에서 퇴거당해 갈 곳조차 없었고, 몇 번이나 삶을 포기할 생각까지 했지만, 마음을 가다듬고 장애인 보호시설과 양로원을 찾아다니며 봉사활동을 통해 고통을 잊으려 노력했습니다. “꿈속에 그이가 나타나 아무 말 없이 빙긋 웃기만 해요. 다가가면 바람이 세차게 불어 접근하지 못하고 나는 울기만 해요.” (동아일보 1990.12.12)
6공화국이 들어서고 1990년 고 김오랑 소령은 중령으로 한 계급 추서되었지만 백영옥 씨의 한은 풀리지 않았습니다. 죽은 남편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전두환, 노태우 전현직(1990년 당시) 대통령과 최세창 당시 특전사 여단장 등 6명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던 백영옥 씨는 돌연 병원에 입원한 후 고소장 접수를 유보 합니다. 세간에는 모종의 압력이 있었을 것이라는 풍문이 돌지만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91년 6월, 백영옥 씨는 자택에서 의문의 실족사를 당합니다. 경찰은 자살로 추정했지만 조카 김영진 씨 등 주변인물에 따르면 남편의 명예회복을 위해 백방으로 분주하게 뛰던 백영옥 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 이유는 없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인에 의문이 제기되었지만 백영옥 씨의 시신은 화장되어 부산 영락공원 무연고 납골당에 안치됩니다.
자신의 눈앞에서 비서실장 김오랑 소령이 목숨을 잃는 것을 본 정병주 특전사령관의 여생도 불행했습니다. 부하가 쏜 총에 관통상을 입은 팔은 두 번의 수술을 받아야 했고, 강제 예편된 후에는 심한 우울증에 시달렸습니다. 생계를 위해 친구들과 함께 투자했던 종이상자 제조공장도 부도가 나서 시름 속에 세월을 보내야 했죠. 그러던 중 1989년 3월 4일, 경기도 송추 유원지 야산 중턱에서 나무에 목을 맨 정병주 사령관의 시신이 발견됩니다. 다섯 달 전, 집을 나갈 때 옷차림 그대로였습니다. 유서도 없었고 시신 주변엔 빈 소주병 3개만 있었죠. 군정종식을 위해 당시 명동성당에서 열린 기도회에 빠짐없이 참석할 정도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의 죽음에 의혹이 제기되었지만 경찰은 단순 자살로 처리합니다.
.
아 슬프다.
개 돼지 보다 못한
경영빙자한 일부 KT경영 폭력배들아
내 힘이 닿는한 니들을 찢어죽일 것이다
너나 당하지말고 열심히 일해
노조도 만들고 휴대폰도 팔고
직원들과 소주도 마시고
이런 여름에는 즐거운 휴가도 가고
이게 인생이다 알간...
힘도 없는게 찢어죽인다고 거짓말이나 하고..
별의별 회사 밖의 일에 열받은 것. 회사에 화풀이로구나.
건전한 정신으로 회사일이나 열심히하시게뇨.
찢어죽이든, 삶아죽이든,

노동자에겐 그림의 떡일 뿐이다.
고용없는 성장은
노동자에겐 지옥이다.
지옥과 천당이 따로 없다
모든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
지옥이라 생각하면 여기가 지옥이요
천당이라 생각하면 여기가 천당이다.
내 생각이 우주만물을 지배하고 .
내 마음이 천지를 지배한다.
직장은 미우나 고우나 누구에게나 삶의 터전이었고 지금도 역시 삶의 터전이다.
누구나 이런 저런 사유로 특히 직장생활하는 사람들은 일정부분 스트레스를 안고 살아간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어떻게 조절하느냐에 따라 똑같은 사안이라도 결과는 달라진다.
직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은 과거엔 직장생활했지만 지금은 백수생활
혹은 대학졸업후 수년째 백수생활을 지속해고 있는 사람에 비하면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행복하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인생은 끊임없는 스트레스의 연속이다.
끊임없이 다가오는 스트레스를 이길려고 하면 매우 힘이 들고 경제적 부와 상관없이 평생을
찌들리며 살아 갈 수 밖에 없다.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부정적사고를 가지면 끝없이 부정적인 면이 보이고
이는 자신의 인생을 병들게하고 악의 구렁텅이에서 헤어나지 못하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skt 직원수 5천명
kt 직원수 3만 2천명
그럼에도
skt가 경영실적이 더 우수하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실적임에도 skt가 경기 변동에 민감한 하이닉스를 인수할려는 숨은 뜻을
한번 쯤 고민해보거라
그런 고민을 해보지 않았다면 정말 회사에 있어서는 안될 백해 무익한 존재임이 확실하다.
민동 이 인간들아
정신차려라
왜 회사를 못 살게구는가
자신의 회사를 발로 차는 인간들이 모인 집구석에
어느 고객이 좋아 하겠는가
지가 먹는 밥그릇을 발로 걷어차는 인간이 세상천지에 어디에 있노
하는 짓이 딱 보이 굶어죽기 십상이다
하찮은 짐승도 지 밥그릇을 지가 차지 않는다.
마누라 자식들 생각해서라도
무엇보다 자신을 위해서
부정적 사고에서 벗어나 밝은면을 보고 열심히 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