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t언론 스크랩
  2. 언론보도 영상
  3. KT노동인권센터
  4. KT민주동지회페북
  5. 유튜브 투쟁영상
  6. 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
  7. 규약 회원가입
  8. KT노동자 추모관
  9. KT 세노조 일파만파
  10. KT 노동조합
  11. 민주노동조합 총 연맹
글 수 374


헌재가 인정한 ‘출퇴근 사고 산재’, 국회 앞에서 막히나

등록 :2016-10-03 16:33수정 :2016-10-03 22:00

 

도보·대중교통 등 출퇴근 사고 산재 인정
1964년 ILO 권고 뒤 52년 만에 헌재 합헌 결정
관련 법 개정 여야 합의 있었지만
여당의 비정규직법 동시처리 고집에 난항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 사고도 산업재해’로 인정한 헌법재판소의 지난달 30일 결정(헌법불합치, <한겨레> 10월1일치 9면)은 그동안 출퇴근 사고의 산재인정 범위가 꾸준히 확대되는 추세가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국회에서 관련 법이 개정되기까지는 여러 난관이 예상된다.

‘출퇴근 재해의 산재 인정’이라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권고와 달리 한국은 1963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 제정 뒤에도 행정해석과 법원 판례로 ‘출퇴근 사고는 업무상 재해가 아니’라고 판단해왔다. 노동자가 출퇴근 수단과 경로를 마음대로 고를 수 있으니 회사의 지배·관리 책임이 없다고 본 것이다. 이런 판단은 똑같은 출퇴근 사고를 ‘공무상 재해’로 인정하는 공무원에 견줘 차별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그러다 ‘출퇴근 재해의 산재 인정을 검토하라’는 노사정위원회 합의로 국회에서 2007년 12월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등 사업주의 지배관리 아래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를 산재로 인정하는 산재보험법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보다 앞서 2007년 9월 대법원은 전원합의체를 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는데, 기존 판례는 유지됐지만 5명의 대법관은 소수의견을 통해 “출퇴근의 방법과 경로는 사업주가 정한 근무지와 출퇴근 시각에 의해 정해지므로 이는 사업주의 지배·관리하에 있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후 법원은 자가용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출근 시간이 너무 빠르거나 퇴근 시간이 너무 늦어 다른 교통수단이 없는 경우에 발생한 사고까지 산재로 인정하는 등 범위를 넓혀왔다. 이런 흐름 끝에 지난달 30일 헌재 결정이 나온 것이다.

헌재의 결정에 따라 국회는 내년 12월31일까지 산재보험법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자료를 보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평균 680여건의 출퇴근 사고의 산재 신청이 제기됐지만, 기존의 엄격한 잣대 탓에 같은 기간 연평균 10건 중 6건(66.5%)이 산재로 인정되지 못했다.

정부와 여야는 출퇴근 사고를 산재로 인정하는 데에는 동의하지만 세부안에서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정부와 여당 합의로 발의된 산재보험법 개정안(이완영 새누리당 의원 대표 발의)을 보면 ‘출퇴근 경로와 방법이 일정하지 않은 직종’과 ‘출퇴근 경로의 일탈 또는 중단’인 경우 사고가 나더라도 산재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 개정안은 ‘근로자의 중대한 과실’이 있는지 없는지를 따져 산재보험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법 시행 시기도 도보·대중교통 사고는 2017년부터, 자가용 사고는 2020년부터 산재로 인정하고 있다. 반면 야당 의원이 19대 국회에서 발의한 산재보험법 개정안을 보면 노동자의 과실, 사고의 내용, 노동자의 종류에 예외를 두지 않았고 시행시기도 법 공포 직후로 정하고 있다.

무엇보다 박근혜 대통령이 계속 강조하는 ‘노동시장 구조개편’과 맞물리면서 관련 법 개정이 지연될 우려가 크다. 정부와 여당은 파견 노동 확대 등 비정규직 규제 완화 법안과 산재보험법 개정안의 동시처리를 줄곧 주장하고 있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환노위 간사)은 “헌재 결정을 계기로 이번 정기국회에서 우선 처리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민경 기자 salmat@hani.co.kr


Read more:
Copyright © LinkBack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 [여성경제신문] [단독]‘죽음의 기업 KT’ 직원 또 자살…올해만 벌써 3명째 image
최종관리자
2016-10-10 4084
353 [한겨레] ‘문화계 황태자’ 차은택, KT 방송광고 사실상 ‘싹쓸이’ image
최종관리자
2016-10-10 4356
[한겨레] 헌재가 인정한 ‘출퇴근 사고 산재’, 국회 앞에서 막히나 image
최종관리자
2016-10-07 4331
351 [한겨레] 헌재, 도보·대중교통 출퇴근 사고도 산재 인정 image
최종관리자
2016-10-07 4323
350 [데일리시사닷컴] 경제개혁연대,"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에 10억원 이상 출연한 23개 기업 이사회에 공개 질의" image
최종관리자
2016-10-06 4241
349 [뉴스토마토] 미르·K재단 출연, 배임 논란으로 비화.. KT·삼성물산 이사회 절차 무시 image
최종관리자
2016-10-06 4250
348 [한겨레] KT가 뒤늦게 황창규 회장의 하버드대 강연 외부 반응 물어보는 까닭은?
최종관리자
2016-10-03 4164
347 [경향신문] 이제 하늘이 열리는 개천절은 없다 image
최종관리자
2016-10-03 4283
346 [여성경제신문] 김영란법 우습게 보는 KT···특정매체에만 기자실 출입 허용 image
최종관리자
2016-09-30 4211
345 [파이낸셜투데이] KT, SNS에 고객정보 노출…반복되는 보안 ‘악몽’ 대책마련 ‘시급’…“강도 높은 제재 동반돼야”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7 4361
344 [한겨레] '최순실'로 끝날까..미르·K재단 의혹 총정리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6 4733
343 [오마이뉴스] 재벌들, '의혹 재단'에 1857억 몰아줘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6 4228
342 [월요신문] 단독/미르재단 기부, SK하이닉스 68억 최고, GS그룹 8개사 참여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2 5699
341 [헤럴드경제] “제2의 일해재단” 논란 일으킨 미르ㆍK스포츠재단은 어떤 곳?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2 4213
340 [TV조선 단독] 900억 모금한 기업들… 팔 비틀렸나?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2 4147
339 [TV조선 단독] 재단법인 미르, 30개 기업이 486억 냈다
최종관리자
2016-09-22 4138
338 [컨슈머타임스] KT ‘부가세 부당 징수’ 600억원 토해내나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1 4094
337 [여성경제신문] KT직원들의 죽음 그리고 사라진 휴대폰 기록 image
최종관리자
2016-09-20 3926
336 [뉴스1] '국가지도통신망' 인력…KT회장 바뀔때마다 '물갈이' image
최종관리자
2016-09-19 3870
335 [매일노동뉴스] 대법원 "통상임금 범위 제한한 단협은 무효" image
최종관리자
2016-09-19 5738